조달청 차량판독기 납품요구 현황
예산 낭비 논란 속 CCTV 교체, 합리적 결정인가 불필요한 지출인가?
하도급 과정의 불투명성까지… 구미시의 해명에도 남는 의문들
[한국유통신문= 김도형 기자] 구미시의 영상 감시 장치 CCTV 설치 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이 포함된 CCTV 운영 방식과 예산 집행의 투명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구미시통합관제센터 관계자의 해명과 한 기자가 제기한 의혹을 중심으로 이 사건을 재구성했다.
현재 구미시는 총 103대의 차량 번호 판독기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18대는 2016~2017년 사이 사라다 업체가 설치한 차량 번호 판독기이며, 나머지 85대는 영상 감시 장치로 분류된다. 문제는 차량 번호 판독기와 영상 감시 장치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조달 방식과 가격 차이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상 감시 장치는 1,100만~1,200만 원대의 비용이 소요되며, 차량 번호 판독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조달청 등록 방식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분류된다. 이로 인해 동일한 성능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구미시는 "조달청 등록 제품을 기준으로 장비를 구매하고 있다"며 조달 절차의 문제로 인해 오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 기자는 사라다 업체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몇 가지 의혹을 제기했다.
① 과도한 예산 집행 논란
기자는 기존 차량 번호 판독기의 렌즈 교체나 부품 수리 비용이 많아야 150만 원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구미시가 신규 장비를 1,200만 원대에 교체하려 한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이는 불필요한 예산 낭비라는 주장이다.
② 유지보수 미비 논란
사라다 업체가 설치한 100여 대의 차량 번호 판독기 중 단 한 번도 교체나 수리 요청이 없었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는 유지보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기존 장비가 여전히 사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교체를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③ 신규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
기존 CCTV의 유지보수보다 신규 설치를 선택한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기자는 "기존 장비를 유지보수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 선택일 수 있음에도, 구미시가 신규 장비 도입을 밀어붙이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④ 하도급 과정의 불투명성
기자는 "하도급 계약 과정에서 비효율성과 불투명성이 확인됐다"며, "이 문제는 단순히 구미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상북도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구미시통합관제센터 관계자는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영상 감시 장치와 차량 번호 판독기의 기능은 동일하지만, 조달청 등록 방식에 따라 명칭과 가격이 다르게 책정된다. 구미시는 조달청에 등록된 제품을 기준으로 구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정 업체를 선정한 것이 아니다."
또한, 관계자는 "현재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추가적인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자가 제기한 하도급 문제나 예산 낭비에 대한 명확한 해명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
검증된 모든 물건 판매 대행, 중소상공인들의 사업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는
#구미시 #CCTV논란 #예산낭비 #하도급문제 #공공조달 #구미통합관제센터 #차량번호판독기 #감시카메라 #행정투명성 #세금낭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