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25시] 언론을 활용한 구미경실련의 목소리(1)-구미경실련 지나친 실명공개, 구미경찰 '명예훼손' 가능성 제기<한국…

선비 0 2,194

사본 -시청.jpg

 

(전국= KTN) 김도형 기자= 22일 구미시청 시민의소리 자유게시판에 구미경실련이 제254호 2016년 9월 21일자 '시정.도정. 의정 모니터링과 대안 성명서'를 올렸다.

 

'공무원 2명 뇌물수수 의혹 수사, 시장은 사과하라'라는 제목으로 올린 구미경실련 성명서 글에 따르면 구미시 K국장의 뇌물수수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 소식을 전한 뉴시스 보도를 인용해 "구미시 행정에 대한 신뢰도가 땅에 떨어졌다며 이는 남유진 시장이 잘못을 방치한 것에 따른 결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을 했다.

 

진실을 알려야만 할 사회적 공적 기능이 있는 언론의 생리를 비춰보건데 뉴시스의 보도는 별다른 하자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를 인용해 공론의 장인 구미시청 자유게시판에 구미경실련에서 사건 당사자의 실명을 거론한 것은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다는 경찰측 의견이 나왔다.

 

구미경찰에 따르면 구미경실련에서 실명을 거론한 성명서 내용은 "판례에 따라 명예훼손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 도 있다"며 당사자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할 경우 사건화 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논란이 되고 있는 구미경실련의 '피의사실 공표'와 관련해 구미경찰은 현재 K국장의 범죄사실이 없의므로 '피의사실 공표죄'는 될 수 가 없다고 하며,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지금 수사중이라는 사실은 알려도 된다"고 밝혔다.

 

한편, 취재 과정에서 구미경찰 관계자는 현재 본 사건이 검찰에 고발 되어 수사 중에 있는 것인지 되물으며 검찰에서 수사 중이라고 보도된 사실의 진위 여부에 대해 묻기도 했다.

 

뉴시스에서는 지난 1월에 K국장이 관급공사 업체로부터 사례금, 명절 떡값 등을 수수했다는 제보가 국무총리실에 접수돼 K국장에 대한 조사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렸고 검찰에서 조만간 K국장을 불러 혐의 내용을 확인할 예정에 있음을 보도했다.

 

구미경실련에서는 이러한 뉴시스 보도를 인용해 당사자의 실명을 밝히며 "남유진 구미시장의 K국장에 대한 인사 실패를 인정 및 대기발령 조치 하고 시민들에게 사과하라"며 구미시 공무원들에 대한 엄격하고 세세한 감시활동 지침을 별도로 만들어 시행할 것을 구미시에 강하게 촉구, "구미시청이 부패집단으로 비쳐지는 현실 앞에, 시민들은 할 말을 잃을 지경"이라며 남 시장에 대한 비난의 화살을 용렬히 날렸다.

 

이어 23일 구미경실련은 제254회 2016년 9월 23일자 성명서를 통해 '남유진 시장 모르쇠, 공무원 부패 이유!'라는 제목으로 9월 22일자 뉴시스 보도를 인용해 구미 공무원들의 부패가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남유진 시장에게 있음이 입증됐다며 발표, K국장에 대한 경질을 보류하고 있는 남 시장의 인사 적절성에 대한 논란을 거론하며 애둘러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

 

뉴시스와 구미경실련의 협동공세로 보이는 구미시청 비리 의혹 보도는 검찰수사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우려의 시선도 나오고 있다.

 

최근 '구미시는 홍보비 특혜의혹을 밝혀야 한다'는 기사로 구미시의 홍보비 관련 감춰진 비하인드 스토리를 신랄하게 비판한 도민일보 김태호 기자는 22일 구미시청 자유게시판에 구미경실련의 공무원 뇌물수수 관련 게시글에 대한 유감의 뜻을 전했다.

 

김태호 기자에 따르면 "수사 의뢰한 의혹 사건을 마치 확정된 사실처럼 알려서는 안 된다"라며 구미경찰에서 기소 의견으로 검찰 송치한 사건에 대해 검찰에서 재조사해야할 사안을 구미경실련에서 실명을 거론함으로써 수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김 기자는 당사자의 인권이 달린 일에 대해 언론 보도를 단순 인용해 "여러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개 처형이라도 하듯이 확대 해석해 인권을 유린해도 되는 것인지 묻고 싶다"며 구미경실련의 지나친 행위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혐의 사실이 입증되거나 유죄로 인정되기 전까지는 섣부른 판단을 해서는 안된다며 일침을 가했다.

 

이번 K국장 사건 또한 뉴시스의 마녀사냥식 여론몰이의 전형으로 보이며 그 수순도 비슷한 맥락이다. 지난해 12월 '구미시 A의원 금품수수 의혹'에 대해 뉴시스의 호도된 보도로 인해 구미참여연대에서 A의원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이어 뉴시스는 시민단체의 성명서 발표를 이용해 더욱 심도있게 A의원을 파고 들었지만 A의원 금품의혹 사건은 사실무근으로 밝혀져 경찰 내사종결됐다.

 

[르포25시] 대형 민영 뉴스통신사 뉴시스의 도가 넘은 횡포, 구미시의회 모욕성 기사 남발, 전형적인 사이비 기자 수법이라는 의혹 제기<한국유통신문.com>

 
이번 K국장 사건의 경우도 의혹 제기 보도 기사를 시작으로 시민단체인 구미경실련의 과장된 실명 공개 성명서 발표에 이어 꼬리에 꼬리를 물듯이 한 언론에서만 집요하게 탐사보도가 진행됐다. 

 

구미시 고위간부 뇌물수수 의혹···검찰 수사 착수 / 2016-09-20 09:51:28

구미시 고위간부 비리 의혹 '눈덩이' / 2016-09-21 10:25:55

구미경실련, “남유진 시장 공무원 잇단 뇌물수수 사과하라” / 2016-09-22 11:08:19

[기자수첩] 눈·귀 막힌 구미시장, 추후 행보가 우려된다 / 2016-09-21 20:16:03

청렴의 또 다른 이름은 '비리 덮기'···구미시 이중 행태에 시민들 비난 / 2016-09-22 17:56:11

 

특히 구미경실련의 뉴시스 보도를 인용해 구미시청 자유게시판을 활용한 구미시청 비리의혹에 대한 보도는 사회적 공익 차원을 넘어 개인 인권을 무시한 시민사회단체의 알력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좀 더 면밀하고 확실한 사실로 중심이 바로 잡힌 성명서 발표가 요원하다.

 

구미경실련이 진실로 구미시의 청렴함과 안녕을 바란다면, 평소에 꾸준한 구미시정 모니터링과 게시글로 시민들의 인정을 받아야 할 것이며 벼락같은 이슈성 글로 시정에 별달리 관심없는 시민들에게 가십거리이자 혼란만 가중시키는 내용의 글은 자중해야 하지 않을까.

  

사본 -사본 -경실련.jpg

 

<한국유통신문 영남총괄본부장 김도형> flower_im@naver.com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가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