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 영동군 산림과 첫 단추 잘끼운 둘레길 조성해야

사회부 0 295

물한1리와 2리 주민들이 조성중인 둘레길 계단을 조심스레 걷고 있다..jpg

 

 

(전국= KTN) 김도형 기자=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이하 지킴이, 회장 김선도)가 산림청 공모사업인 영동군 산림휴양 치유마을 조성에 반발하고 나섰다.


지킴이에 의하면 신작로가 생기면서 하천으로 묻히고 버려졌던 길들을 다시 정비해 민주지산 주차장을 기점으로 인위적으로 만든 길이 아닌 옛길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연결한 자연 그대로의 길, 자연을 돌아보며 이웃과 정을 나누는 길을 만드는데 대다수 주민들이 사업에 동의했으나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전면 폐지해야한다는 주장을 발표했다.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는 물한1리, 물한2리에 거주하는 주민 20여명으로 물한리 사람들로 구성된 단체이다.


지킴이의 주장은 황룡사부터 삼도봉까지 물한계곡을 두고 기존 등산로가 있는데 바로 물건너 벌목시 나무를 나르던 길을 둘레길로 아무런 의미와 필요 없이 새로 만드는 것 자체가 환경파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지산은 특히 사계절중 겨울에 관광객이 많다며 기존의 길이 있음에도 계곡건너로 새롭게 만드는 길은 눈 이오면 낭떠러지로 위험이 노출되어 있고 그 길에 야자매트를 설치하면 둘레길이 아닌 위험천만한 산악길이 만들어질 수 있다며 관광객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기에 전면폐지하거나 안전펜스를 쳐야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지금 조성중인 길은 가을이면 버섯채취로 입산을 금지하고 있으며 기존의 등산길도 환경보호를 위해 무분별하게 계곡에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펜스로 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둘레길의 첫 단추를 잘 끼우면 늘어난 탐방객은 물로 지역을 바꿀 수 있다며 현재의 등산로를 보강한 후 상촌면 소재지부터 대해리, 물한리, 민주지산 주차장을 잇는 둘레길을 조성한다면 상촌면 전체의 상권까지 활성화 되는 옛길복원의 방안을 제시했다.


민주지산 환경산림하천지킴이의 주장


1. 영동군 산림과가 추진하는 새로운 길은 위험천만한 산악길이 될 수 있기에 사업을 전면폐지하고 재검토해야 한다.


1. 현재 둘레길 조성사업으로 물한계곡 상류의 개방은 어느 특정동네의 문제가 아니기에 조성사업 추진위원회에 물한1리 물한2리 대해리 이장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위원으로 참여시켜야 한다.


1. 상촌면 소재지부터 대해리 물한리 민주지산 주차장 까지 잇는 옛길은 주변경관으로 탐방객을 충분히 매료시킬 수 있기에 지금의 무늬만 둘레길인 산악길 사업을 전면 폐지하고 옛길 복원사업으로 영동군이 민주지산 물한계곡 둘레길 사업을 새롭게 계획해야 한다.


1. 계곡건너 다른길을 조성할게 아니라 민주지산 주차장부터 삼도봉까지 오르는 등산길의 거리표시 이정표 재정비와 비가 오면 건너야 하는 다리가 훼손되어 방치되고 있는 등산길 재정비를 제안한다.


1. 공모사업을 반환하더라도 안전과 환경이 최우선 되어야 하기에 황룡사부터 만들어지는 위험한 산악길 조성을 영동군이 강행한다면 우린 끝까지 투쟁할 것을 밝힌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http://www.youtongmart.com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