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화/인터뷰/칼럼 > 문화
문화

 

안동문화 세계화의 초석 다져, 안동시 기록유산분야 성과 신기원 이뤄<한국유통신문.com>

선비 0 1394

1219 안동문화의 세계화의 초석을 다진 해(베트남 후에시에서 개최된 제7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아시아 태평양 지역위원회 총회).jpg

 

묵향 그윽한 안동 !
유교책판, 편액, 훈민정음 해례본 복각 등 기록유산의 맥을 잇기
위한 사업을 통해 안동문화 세계화의 초석을 놓다.

 

(전국= KTN) 김도형 기자= 2016년은 국내외적으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지만 안동시는 그 어느 해보다 안동문화의 세계화에 큰 전환점을 마련한 한 해였다. 특히 안동문화의 큰 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기록유산분야의 성과는 괄목할 만하다.

 

▶“한국의 편액” 550점, 한국 최초로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에 등재되다.
 안동시(권영세 시장)는 지난해 10월 유교책판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이어 지난 5월에는 베트남 후에(Hue)시에서 열린 제7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위원회(MOWCAP, Memory of the World Committee for Asia and Pacific) 총회에서 「한국의 편액」 550점을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 목록에 등재하는 성과를 거둬 안동문화의 다양성과 수월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지난 총회에서는 한국의 ‘편액’과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일본의 ‘수평사와 형평사 국제연대 기록물’을 비롯한 10개국 14건이 등재됨으로써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은 총 23개국 46점으로 확대됐으며, 우리나라는 13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함께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 1점을 처음으로 보유하게 됐다.

 

1219 안동문화의 세계화의 초석을 다진 해2(한국의 편액으로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에 등재된 도산서원 편액).jpg


편액은 건물의 처마와 문 사이에 글씨를 새겨 걸어둔 표지판으로 건물의 기능과 의미, 건물주가 지향하는 가치관을 함축해 반영하는 기록물이며, 당대의 국왕, 명필, 문인과 학자들이 남긴 필적을 통해 동양의 전통 인문정신과 선비문화를 동시에 담은 예술품이다. 이번에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550점의 편액은 189개 문중과 서원에서 기탁 받은 것으로 대부분 16~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이다.
 ‘유교책판’과 ‘편액’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안동의 문화 다양성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 유생들의 학문적 성취와 깊이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귀중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유학적 이념에 따라 ‘어떻게 하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을까?’를 끊임없이 궁구했던 선현들의 학문적 성취 기록으로 보다 높은 정신적 가치를 유지했던 안동문화를 세계가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안동판 『훈민정음 해례본』 복각본 영릉(英陵)에 봉정하다.
 ‘훈민정음(訓民正音)’ 해례본은 새로운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로서 1443년(세종 25) 9월에 세종이 친제한 ‘언문 28자’에 대한 어제 서문과 예의편, 이를 해설한 해례편과 정인지 서문을 합간한 문헌이다. 세종 28(1446)년에 목판본 1책으로 간행됐으며 본문 4장과 해설 29장의 총 33장으로 이뤄져 있는 우리 민족 최고의 기록유산으로 1962년에 국보 제70호로 지정됐고, 1997년 10월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1940년 경북 안동시 와룡면의 반가(班家)에서 처음으로 발견돼 현재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으나 목판본은 멸실돼 아쉬움이 많았다.

 

이에 안동시는 세계 최고의 문자로 평가 받고 있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원소장처가 안동임을 알리고, 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훈민정음과 안동의 인연을 밝히고자 복각사업을 추진해 판각을 완료하고 지난 10월 9일 최초 인출본을 세종대왕이 영면해 계신 영릉(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에 봉정(奉呈)하는 고유제(告由祭)를 개최했다. 안동시는 이 사업을 계기로 우리의 우수한 한글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나아가 안동이 한글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219 안동문화의 세계화의 초석을 다진 해3(영른에서 훈민정음 해례본 복각 고유제 봉행).jpg

 

▶ 세계기록유산 지식센터, 세계최초로 한국국학진흥원에 설치하다.
‘세계기록유산 지식센터’는 2013년 5월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IAC(세계기록유산국제자문위원회의) 총회에서 ‘IAC 산하 교육연구소위원회의’의 설립이 승인됐고, 2015년 10월 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된 IAC 총회에서는 교육연구소위원회 산하에 국제, 지역, 국가 3단계로 ‘지식센터’를 설치하는 안이 통1과됐는데, 지역 및 국가 지식센터는 IAC에서 추천을 받아 유네스코 사무국에서 승인한다. 

지식센터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관련 기초 자료 수집 ▲일반인 및 연구자의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내외 기록유산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각종 행사 개최 ▲기록유산 보존, 복원 작업과 관련된 우수 사례의 수집 및 공유 ▲학생 및 교사를 위한 세계기록유산 교육 과정과 자료 개발 ▲세계기록유산이 세계문화유산(WCH)과 무형문화유산(ICH)과의 시너지 효과 창출 등의 일을 하게 된다. 또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이해증진과 활용성 제고를 통해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을 전 인류가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국제 지식센터는 유네스코 본부가 있는 파리에 있고, 지역별 지식센터와 국가별 지식센터를 지정하기 위한 작업이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시점이다. 국가별 지식센터로는 ‘한국 세계기록유산 지식센터’가 한국에 최초로 설치됐고, 이것이 11월 8일 협약을 통해 한국국학진흥원에 설치한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이후 유네스코는 지역별(대륙별) 지식센터 설치 및 국가별 지식센터를 지속적으로 설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협력 기관만이 등록돼 있는데, 미국 국회도서관 세계디지털 도서실을 비롯해 11개국 19개 기관이다. 

 

1219 안동문화의 세계화의 초석을 다진 해4(세계기록유산 지식센터 설림을 위한 MOU체결).jpg


안동시와 한국국학진흥원은 지난해 ‘유교책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올해 ‘한국의 편액’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록유산으로 등재를 이뤄내면서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한국국학진흥원이 진행하고 있는 민간소장 기록자료의 수집․보존의 노력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기록 자료의 가치 발굴 사업 등이 이번 지식센터 지정에 중요한 작용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시는 세계기록유산 지식센터 설치를 통해 ‘기록자료의 가치’를 공유하고 이를 공적영역에서 보존하기 위한 노력에 매진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기록유산의 가치를 국민들과 공유하고, 한국이 가지고 있는 세계기록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한 ‘세계기록유산 전시홍보체험관’을 건립해 안동을 명실상부한 기록유산의 메카로 발전시킬 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며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건립에 들어가 2019년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세계기록유산 소장 기관들과의 협의를 통해 세계기록유산 보존과 활용에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

 

 <한국유통신문 영남총괄본부장, KTN한국유통신문 인터넷신문 발행인 김도형> flower_im@naver.com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가능> 

 

문화예술과 /과장 권윤대 ☎ 840-6090

세계문화유산담당 손상락 ☎ 840-5237

 

 

logo유통

소상공인의 POS관리비용 절감으로 경쟁력 재고 및 스마트 전통시장 육성의 선구자!

m_logo2

http://모바일포스.com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