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끼 식사로는 열량 및 영양성분 부족… 일부 제품, 나트륨 함량 높아
(전국= KTN) 김도형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 증가로 최근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볶음밥‧컵밥‧죽 등 가정간편식에 대한 영양성분 함량 정보를 조사하여 공개한다고 밝혔다.
* 가정간편식 생산실적: (‘15) 1.9조원 → (‘17) 2.6조원 → (‘18) 3조원
이번 조사는 지난해 ‘나트륨·당류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 국민의 식품 소비 성향을 분석한 결과, 가정간편식의 섭취빈도가 높아 이에 대한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양을 고루 갖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했다.
< 나트륨․당류 소비자 인식 조사 > |
조사대상은 대형마트, 온라인, 상생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볶음밥 106개,컵밥 60개, 죽 88개 등 총 254개 가정간편식 식사류 제품이다.
<가정간편식 영양성분 함량 조사 > ✓ 조사기간 : 2019. 10. 21. ~ 2020. 1. 30. ✓ 조사방법 : 제품에 표기된 영양성분 함량 조사 및 제조사 확인 ✓ 조사기관 : 청주 서원대학교 (식약처 위탁 조사기관) |
밥, 컵밥, 죽)는 1회 제공량 당 평균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등이 1일 영양성분기준치에 비해 모두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한 끼 식사대용으로는 부족하다.
조사대상 제품의 1회 제공량 당 평균열량(324kcal)은 주요 섭취연령(19~29세) 남자의 1일 에너지 필요량(2,600kcal)의 12.4%수준으로 편의점 도시락(750kcal, 28.8%), 라면 (526kcal, 26.3%) 등 유사 식사류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한, 평균 단백질‧지방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낮고, 평균 나트륨 함량은 세계보건기구(WHO) 1일 나트륨 권장 섭취량(2,000㎎)대비 다소 높은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영양 불균형 우려가 있다.
< 조사 제품군별 영양성분 평균 함량> |
(볶음밥, 컵밥, 죽) 제조사별로 크게 차이를 보여, 제품을 선택할 때 영양성분 표시를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일부 나트륨 함량이 높은 가정간편식은 라면 제품의 평균 나트륨 함량(1,586㎎)과 유사한 수준이다.
(볶음밥)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씨제이제일제당(주)의 ‘쉐프솔루션 햄야채볶음밥(1,540㎎)‘, 가장 낮은 제품은 웬떡마을영농조합의 ‘연잎밥(269㎎)‘ 이다.
(컵밥)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씨제이제일제당(주)의 ‘부대찌개 국밥(1,530㎎)‘, 가장 낮은 제품은 ㈜라이스존의 ‘우리쌀 컵 누룽지(30㎎)‘ 이다.
(죽)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서울요리원의 ‘사골쇠고기 야채죽(1,310㎎)‘, 가장 낮은 제품은 ㈜오뚜기의 ‘고리히카리쌀죽(0㎎)‘이다.
간편해서 한 끼 식사대용으로 즐겨 찾는 가정간편식, 맛과 영양, 그리고 건강도 챙기려면 열량, 나트륨 등 영양성분 표시를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정간편식을 먹을 때는 부족한 열량을 보충하면서 몸 속 나트륨 배출에 도움을 주는 칼륨 함량이 많은 고구마(100g당 989㎎), 바나나(100g당 346㎎), 아몬드(100g당 759㎎), 우유(100g당 143㎎)등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고, 당류 함량이 많은 음료류 보다는 물이나 다류(녹차 등)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가 안전과 영양을 고루 갖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통 제품의 영양성분 함량 비교 분석, 당‧나트륨 저감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c)한국유통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및 사회적 공헌활동 홍보기사 문의: 010-3546-9865, flower_im@naver.com
담 당 과 |
식품소비안전국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 (☎043-719-2262) |
과 장 |
양창숙 (☎043-719-2251) |
사 무 관 |
김수현 (☎043-719-2262) |